1. 네트워크의 기초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 네트워크는 하드웨어적인 전송 매체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의 모음이다.
② 시스템과 전송 매체의 연결 지점에 대한 규격이 프로토콜이다.
③ 시스템이 데이터를 교환할 때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동작하는 통신 규칙인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④인터페이스와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시스템을 상호 연동해 동작시키기 위함이니, 연동 형식의 통일은 필요하지 않다.
답 : 2, 3, 4
해설 :
② 시스템과 전송 매체의 연결 지점에 대한 규격은 인터페이스이다.
③ 시스템이 데이터를 교환할 때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동작하는 통신 규칙인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④인터페이스와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시스템을 상호 연동해 동작시키기 위함이니, 연동 형식의 통일은 필요하다(표준화)
2.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 논리적으로 상호 연동되는 시스템이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때는 표준화된 대화 규칙을 따른다.
② 일반적으로 인터페이스는 상하관계가 아닌 동등한 위치에 있는 시스템 사이의 규칙이다.
③ 프로토콜은 두 시스템이 연동하기 위한 특정한 접촉 지점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지만, 인터페이스와 비교하여 인용될 때는 상하 개념이 적용된다.
④ 인터페이스는 주고받는 데이터의 형식과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련의 절차적 순서에 무게를 둔다.
답 : 2, 3, 4
해설 :
② 상하 관계과 아닌 동등한 위치에 있는 시스템 사이의 규칙은 프로토콜이다
③ 인터페이스는 두 시스템이 연동하기 위한 특정한 접촉 지점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지만, 프로토콜과 비교하여 인용될 때는 상하 개념이 적용된다
④ 프로토콜은 주고 받는 데이터 형식과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련의 절차적 순서에 무게를 둔다.
3.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 노드는 컴퓨터 이론 분야에서 특정 시스템을 가리키는 가장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된다.
② 노드는 인터넷 내부를 구성하는 라우터와 인터넷 바깥쪽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호스트로 구분된다.
③ 라우터는 기본으로 데이터 전송 기능을 포함한다.
④ 라우터의 주요 역할은 데이터 중개 기능이며, 인터넷 바깥쪽에 연결된 호스트들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인터넷 내부에서 최적의 경로를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⑤ 호스트는 인터넷 바깥쪽에 연결되어 일반 사용자들의 네트워크 접속 창구 역할을 한다.
⑥ 호스트는 호스트 사이에 제공되는 서비스를 기준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나눌 수 있다.
답: 없음
4. OSI 7계층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 다수의 시스템을 서로 연결해서 통신하려면 선행적으로 연결 방식을 표준화해야 한다.
② 국제 표준화 단체인 OSI에서는 OSI 7계층 모델을 제안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기본 구조와 기능을 상세히 정의하고 있다.
③ OSI 7계층 모델에 따르면, 네트워크에 연결된 호스트들은 7개 계층으로 모듈화된 전송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④ 일반 사용자는 OSI 7계층 맨 아래에 있는 물리 계층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요청한다.
⑤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송수신 호스트 사이의 라우터들이 중개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라우터는 하위 3개 계층의 기능만 수행한다.
답 : 2, 4
해설 :
② 국제 표준화 단체인 ISO에서는 OSI 7계층 모델을 제안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기본 구조와 기능을 상세히 정의하고 있다.
④ 일반 사용자는 OSI 7계층 맨 위에 있는 응용 계층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요청한다
5. OSI 7계층 모델의 각 계층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 물리 계층은 호스트를 전송 매체와 연결하기 위한 프로토콜 규칙과 전송 매체의 특성을 다룬다.
② 데이터 링크 계층은 네트워크 계층의 오류에 관한 오류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서는 오류의 발생 사실을 인지하는 기능과 오류 복구 기능이 필요하다.
③ 송신 호스트가 전송한 데이터가 수신 호스트까지 안전하게 도착하려면 여러 개의 중개 시스템인 라우터를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가 올바른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계층이 네트워크 계층이다.
④ 전송 계층은 송신 프로세스와 수신 프로세스 간의 연결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프로세스 사
이의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⑤ 세션 계층은 표현 계층에서 제공하는 연결의 개념과 유사한 세션 연결을 지원하지만, 이보다는 더 상위의 논리적 연결이다.
⑥ 표현 계층은 전송되는 데이터의 의미를 잃지 않도록 올바르게 표현하는 방법을 다룬다.
답 : 1, 2, 5
해설 :
① 물리 계층은 호스트를 전송 매체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규칙과 전송 매체의 특성을 다룬다.
②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 계층의 오류에 관한 오류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서는 오류의 발생 사실을 인지하는 기능과 오류 복구 기능이 필요하다.
⑤ 세션 계층은 전송 계층에서 제공하는 연결의 개념과 유사한 세션 연결을 지원하지만, 이보다는 더 상위의 논리적 연결이다.
6 인터넷 계층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 인터넷에서는 IP 프로토콜이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능을 수행한다.
② TCP와 UDP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을 수행한다.
③ 전송 계층 이하의 프로토콜들은 호스트의 운영체제 내부에서 구현된다.
④ 프로토콜 스택은 계층 구조로 이루어진 통신 프로토콜의 집합이다.
⑤ 통신하는 호스트 사이에는 중개 기능을 수행하는 라우터들이 존재할 수 있다.
⑥ 인터넷에서는 IP 프로토콜이 중개 기능을 수행하므로 라우터에는 계층 4까지의 프로토콜이
구현되어 있다.
답 : 1, 2, 6
해설:
① 인터넷에서는 IP가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을 수행한다.
② TCP와 UDP 프로토콜은 전송 계층의 기능을 수행한다.
⑥ 인터넷에서는 IP프로토콜이 중개 기능을 수행하므로 라우터에는 계층 3까지의 프로토콜이 구현되어 있다.
7. 인터네트워킹 장비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 리피터는 한쪽에서 입력된 신호를 물리적으로 단순히 증폭하여 다른 쪽으로 중개하는 역할을 한다.
② 브리지는 단순히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하며, 전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리적인 오류 문제는 다루지 않는다.
③ 브리지는 리피터 기능에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능이 추가된 것으로 물리 계층에서 발생한 오류를 해결해준다.
④ 라우터는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능을 지원한다.
⑤ 라우터는 자신과 연결된 네트워크와 호스트들의 정보를 유지·관리함으로써 특정 경로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와 다수의 경로 중에서 어느 경로가 빠른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지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답 : 2, 4
해설:
② 브리지는 리피터 기능에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능이 추가된 것으로 물리 계층에서 발생한 오류를 해결해준다.
④ 라우터는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을 지원한다.
8. 데이터 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해 데이터를 교환할 때는 먼저 데이터를 특정 형태로 규격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② 네트워크에서는 데이터를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데이터 규격에 맞춰 묶어주어야 한다. 이와 같은 한 단위의 규격으로 묶인 전송 데이터를 데이터 단위라 한다.
③ OSI 7계층 모델의 각 계층에서 규격화된 데이터는 고유 명칭이 있는데, 계층에 상관없이 사용할 때는 통칭하여 PDU라 부른다.
④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세그먼트라 부른다.
⑤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데이터그램이라 부른다.
답 : 4, 5
해설:
④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프레임이라 부른다.
⑤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패킷이라 부른다.
9. 주소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 구분자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대상을 서로 구분하여 지칭하는 것이다.
② 처음 인터넷을 설계했을 때는 지금과 같은 규모로 인터넷이 이용될 것을 예측하지 못하여 인터넷 구분자인 IP 주소의 고갈 문제에 직면해 있다.
③ 시스템 설계 과정에서 부여되는 구분자는 시스템의 내부 처리 구조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④ 숫자로 된 이름과 문자로 된 주소를 모두 가지므로 이를 매핑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⑤ 구분자는 응용 환경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답 : 없음
10. IP 주소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 IP 주소는 전송 계층의 기능을 수행하는 IP 프로토콜이 호스트를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주소 체계이다.
② IP 주소는 32비트의 이진 숫자로 구성되는데, 보통 4비트씩 나누어 십진수로 표현한다.
③ 숫자로 된 주소는 외우기 어려우므로 문자로 된 http://www.korea.co.kr 등의 도메인 이름을 사용한다.
④ IP 주소는 유일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국제 표준화 기구가 전체 주소를 관리하고 할당하기 때문에 중복 주소의 사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⑤ IP 주소로 표현할 수 있는 최대 주소 공간의 크기를 32비트로 제한함으로써 확장성에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프로토콜인 IPv6에서는 주소 표현 공간을 64비트로 확장했다.
답 : 2, 5
해설 :
② IP 주소는 32비트의 이진 숫자로 구성되는데, 보통 8비트씩 네부분으로 나누어 십진수로 표현한다.
⑤ IP 주소로 표현할 수 있는 최대 주소 공간의 크기를 32비트로 제한함으로써 확장성에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프로토콜인 IPv6에서는 주소 표현 공간을 128비트로 확장했다.
11. 호스트 파일을 이용한 주소 정보의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를 변환하는 간단한 방법은 특정 파일에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의 조
합을 기록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②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호스트 이름을 이 파일에서 검색하여 일대일로 대응된 IP 주소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③ 호스트 파일은 한 줄에 하나의 호스트 정보가 기록되며, 보안을 위하여 암호 문서 형식으로 보관된다.
④ 네트워크 관리자는 관리 대상이 되는 모든 컴퓨터의 호스트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해야 한다.
⑤ 호스트 파일을 갱신하고 복사하는 작업은 보통 시스템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했었다.
답 : 3
해설:
③ 호스트 파일은 한 줄에 하나의 호스트 정보가 기록되며, 텍스트 문서 형식으로 보관된다.
12. DNS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 DNS는 주소와 이름 정보를 자동으로 유지하고 관리하는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② 호스트 주소와 이름 정보는 네임 클라이언트라는 특정한 관리 호스트가 유지하고, 주소 변환 작업이 필요한 서버는 네임 클라이언트에 요청해서 IP 주소를 얻는다.
③ 네임 서버라는 명칭은 DNS 시스템의 이론에서 정의되는 용어로, 보통 DNS 서버라는 명칭이 사용된다.
④ DNS는 하나의 집중화된 네임 클라이언트가 전체 호스트의 정보를 관리하지 않고, 여러 네임 클라이언트에 분산하여 관리하도록 설계되었다.
⑤ 단일 구조의 네임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관리하는 영역에 있는 호스트 정보만 관리하며, 정보를 상호 교환하는 협력 관계를 통해서 전체 호스트 정보를 일관성 있게 유지한다.
답: 2, 4, 5
해설:
② 호스트 주소와 이름 정보는 네임 서버라는 특정한 관리 호스트가 유지하고, 주소 변환작업이 필요한 서버는 네임 서버에 요청해서 IP 주소를 얻는다
④ DNS는 하나의 집중화된 네임서버가 전체 호스트의 정보를 관리하지 않고, 여러 네임 서버에 분산하여 관리하도록 설계되었다.
⑤ 계층 구조의 네임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관리하는 영역에 있는 호스트 정보만 관리하며, 정보를 상호 교환하는 협력 관계를 통해서 전체 호스트 정보를 일관성 있게 유지한다.
13. 네트워크 관련 주소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 MAC 주소는 계층 2의 LLC 계층에서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LAN 카드에 내장되어 있다.
② 네트워크 계층이 전송 계층에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면 먼저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③ IP 주소는 인터넷에서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을 수행하는 IP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며, 송신자 IP 주소와 수신자 IP 주소로 구분된다.
④ 송신자 IP 주소는 IP 패킷이 지나가는 경로를 결정하는 라우팅의 기준이 된다.
⑤ 포트 주소는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며, 호스트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구분해준다.
⑥ 인터넷의 전송 계층 프로토콜인 TCP와 UDP번호 또는 소켓 주소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답: 1, 2, 4
해설:
① MAC 주소는 계층 2의 MAC계층에서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LAN 카드에 내장되어 있다.
② 네트워크 계층이 데이터링크 계층에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면 먼저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④ 수신자 IP 주소는 IP 패킷이 지나가는 경로를 결정하는 라우팅의 기준이 된다.
14. 네트워크는 하드웨어적인 ( ① )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의 모음이며, 시스템과 전송 매체의 연결 지점에 대한 규격이 ( ② )이다. 시스템이 데이터를 교환할 때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동작하는 통신 규칙인 ( ③ )이 필요하다.
답 : ①전송매체 ②인터페이스 ③프로토콜
15. ( ① )은 전 세계의 모든 네트워크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통합 네트워크이다. ( ① )은 데이터 전달 기능으로 I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즉, ISO의 7계층 모델에서 계층 3인 ( ② ) 계층의 기능을 IP 프로토콜이 수행한다.
답: ①인터넷 ②네트워크
16. ( ① )는 인터넷 내부를 구성하며, 기본으로 데이터 전송 기능을 포함한다. ( ① )의 주요 역할은 데이터 중개 기능이며, 인터넷 바깥쪽에 연결된 호스트들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인터넷 내부에서 최적의 ( ② )를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답: ①라우터 ②경로
17. ( ① )는 임의의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이고, ( ② )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이다. 둘의 개념은 서비스 단위로 이루어지므로 임의의 호스트가 ( ① )나 ( ② )로 고정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특정 서비스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관점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답: ①클라이언트 ②서버
18. ( ① ) 계층은 물리 계층의 오류에 관한 오류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서는 오류의 발생 사실을 인지하는 기능과 오류 복구 기능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물리적 오류로는 데이터가 도착하지 못하는 데이터 분실과 내용이 깨져서 도착하는 데이터 변형이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오류 복구는 송신자가 원래의 데이터를 ( ② ) 하는 방식으로 처리한다.
답: ①데이터 링크 ②재전송
19. 송신 호스트가 전송한 데이터가 수신 호스트까지 안전하게 도착하려면 여러 개의 중개 시스템인 ( ① )를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가 올바른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계층이 ( ② ) 계층이다. 네트워크 부하가 증가하면 특정 지역에 ( ③ )이 발생할 수 있는데, ( ③ ) 제어도 데이터의 전술 경로와 관계된다.
답: ①라우터 ②네트워크 ③혼잡
20.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최종 주체는 호스트가 아니고, 호스트 내부에서 실행되는 응용 네트워크 프로세스이다. ( ① ) 계층은 송신 프로세스와 수신 프로세스 간의 연결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프로세스 사이의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일반적으로 계층 4까지의 기능은 운영체제에서 ( ② ) 형태로 상위 계층에 제공하며, 계층 5~7의 기능은 응용프로그램으로 작성된다.
답: ①전송 ②시스템 콜
21. ( ① ) 계층은 전송되는 데이터의 의미를 잃지 않도록 올바르게 ( ① )하는 방법을 다룬다. 즉 정보를 교환하는 호스트들이 표준화된 방법으로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 ② )과 데이터를 ( ③ )라는 기능도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동영상과 같은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 ② ) 하면 전송 데이터의 양을 줄일 수 있다. ( ③ )는 네트워크 보안 기능의 하나이며, 외부의 침입자로부터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술이다.
답: ①표현 ②압축 ③암호화
22. 인터넷에서는 IP 프로토콜이 ( ① )계층의 기능을 수행하며, TCP와 UDP 프로토콜은 ( ② ) 계층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들 3개의 프로토콜은 인터넷 환경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핵심역할을 한다.
답: ①네트워크 ②전송
23. 네트워크와 네트워크의 연결을 ( ① )이라 하며, 연결되는 네트워크 수가 증가할수록 복잡도가 커진다. 인터넷은 IP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전 세계의 모든 네트워크가 반복 구조로 연결된 시스템을 의미하며, 계층 3 기능을 수행하는 ( ② )는 중개 장비를 사용해서 네트워크들을 연결한다.
답: ①인터네트워킹 ②라우터
24. 리피터는 단순히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하며, 전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리적인 오류 문제는 다루지 않는다. 이를 보완한 (①)는 리피터 기능에 (②) 계층의 기능이 추가된 것으로 물리 계층에서 발생한 오류를 해결해준다.
답: ①브리지 ②데이터 링크
25.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해 데이터를 교환할 때는 먼저 데이터를 특정 형태로 규격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들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 ① )이라 하고,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 ② )이라 한다. 전송 계층의 TCP 프로토콜은 ( ③ ), UDP 프로토콜은 ( ④ )이라 부른다.
답: ①프레임 ②패킷 ③세그먼트 ④데이터그램
26. 디지털 환경에서 숫자로 된 ( ① ) 표현 방식은 일반 사용자에게 불편하므로 보통은 외우기 쉬운 문자 형식의 ( ② )을 추가로 사용한다. ( ① )와 ( ② )은 일대일 관계에 있으며, 이들을 연결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답: ①주소 ②이름
27. 네트워크에는 여러 종류의 주소와 이름이 존재한다. 이는 각 계층의 기능을 담당하는 프로토콜마다 주소를 독립적으로 관리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IP 프로토콜은 호스트를 구분하기 위하여 ( ① )를 사용하며,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LAN 카드별로 ( ② )를 따로 부여한다. 전송계층을 수행하는 TCP에서는 호스트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프로세스마다 별도의 ( ③ ) 주소를 할당하고 관리한다.
답: ①IP주소 ②MAC주소 ③포트
28. IP 주소는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을 수행하는 IP 프로토콜이 호스트를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주소 체계이다. 임의의 호스트를 인터넷에 연결하려면 반드시 IP 주소를 할당받아야 한다. IP 주소는 ( ① )비트의 이진 숫자로 구성되는데, 보통 ( ② )비트씩 나누어 ( ③ )로 표현한다.
답: ①32 ②8 ③10진수
29. 일반 사용자가 호스트를 지칭할 때 사용하는 호스트 이름을 ( ① )이라 하며, 인터넷에서는 http://www.korea.co.kr과 같은 ( ① )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초기 인터넷에서는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변환하였으나, 지금은 ( ② )라는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사용해서 보다 체계적인 방법으로 관리하고 있다.
답: ①도메인 이름 ②DNS
30. ( ① )는 주소와 이름 정보를 자동으로 유지하고 관리하는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호스트 주소와 이름 정보는 ( ② ) 라는 특정한 관리 호스트가 유지하고, 주소 변환 작업이 필요한 클라이언트는 ( ② )에 요청해서 IP 주소를 얻는다.
답: ①DNS ② 네임서버